만든 나라 조선

만든 때 1,400년대(15세기)

쉬운해설-03.jpg

03 분청인화 내섬명 대접.wav

이 그릇은 분청사기로, 어두운 회색 흙으로 도자기 몸통을 만든다.

그 다음에는 몸통 위에 흰색 흙을 바르거나, 무늬를 새겨서 도자기를 꾸민다.

어떻게 꾸미는지에 따라 분청사기의 모습이 달라진다.

이 그릇에는 여러 가지 무늬가 찍혀 있다.

식물 무늬, 구슬띠 무늬, 연꽃 무늬, 꼬인줄 무늬 등을 볼 수 있다.

깔끔하게 찍힌 무늬들을 보면 이 그릇만의 독특한 분위기가 느껴진다.

이렇게 도장으로 무늬를 찍어내는 기술을 ‘인화’라고 한다..

그릇 가운데에는 ‘내섬(內贍)’이라는 글자가 적혀 있다.

내섬시*****라는 곳에서 이 그릇을 관리했다는 것을 뜻한다.

조선시대 초기에는 나라에서 사용할 도자기가 필요할 때,

사람들에게 세금으로 도자기를 내게 했다.

이렇게 얻은 도자기를 잃어버리지 않기 위해

도자기를 관리하는 곳이 어디인지 적어 놓은 것이다.